본문 바로가기
일상의도움/생활팁

KB 증권 마블 연금저축펀드 해지시 기타소득세 적용 및 과세 조회방법

by Keyclould 2023. 12. 26.
반응형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이용하다 보면 부득이하게 중도인출이나 해지를 고려할 때가 있습니다. 지금 시점으로 인출이나 해지 시에 계좌가 손해를 보는 것인 아닌지 판단해 볼 수 있다면 좋겠죠?

 

제가 쓰고있는 KB마블에서는 기타 소득세 16.5%에 관한 내용을 참고하여 조회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그전에 연금저축펀드 계좌 운영에 있어 관심이 있으신 분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2개 만들어야 하는 이유 (Feat. 왕초보필독)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후를 준비하기 위해 연금이라는 탑을 쌓고 있습니다. 일반 직장인이 월급을 받으면 국민연금으로 적립이 되고, 더 나아가 개인연금, 퇴직연금(IRP)까지 준비하시는 분들도

gwanwoonim.tistory.com

 

 

 

연금저축펀드 중도인출 사유에 대하여 알아보자

연금저축펀드를 운영 중이라면 인출에 대해서 궁금하실 텐데요. 만 55세 이전에는 인출이 불가한 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에 한하여는 언제든지 중

gwanwoonim.tistory.com

 

 

 

KB증권 마블 앱을 이용하자

 

먼저 KB증권 어플인 M-ABLE를 실행하여 줍니다. 실행한 후 메인화면에서 왼쪽 하단에 있는 3개의 줄 모양으로 표시된 메뉴 버튼을 눌러 전체 메뉴를 활성화시킵니다.

 

 

메뉴가 활성화되면 위의 그림 순서대로 [연금.상품] 메뉴를 누른 다음 좌측에서 [연금저축] 으로 진입합니다. 연금저축 관련 세부메뉴가 표시가 되면 3번째로 표시된 [연금저축관리하기] 를 눌러줍니다.

 

연금상품 메뉴에서는 우리가 사용하는 연금저축펀드와 IRP 메뉴가 따로 구분이 되어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연금저축] , 퇴직연금인 IRP는 [퇴직연금/IRP] 로 각각 나누어져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금저축관리하기 메뉴에 진입을 하셨으면 맨 아래에 있는 [연금저축해지예상세금] 을 눌러주세요. 여기에서 우리가 해지 시에 세금을 얼마나 납부를 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조회를 할 수가 있습니다.

 

 

출금금액에 있어 일부와 전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해지하지 않고 중도인출을 할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상황을 골라 일부 또는 전액 중에 선택하여 줍니다.

 

참고로 전액은 계좌 내에 있는 모든 금액에 대해 과세 내용을 보여주며, 일부를 선택한 경우에는 본인이 인출하고자 하는 금액을 기입하여 주면 됩니다.

 

 

저의 연금저축펀드 계좌의 납입 상태입니다. 소득공제받은 금액과 받지 않은 금액을 합하여 총 1600만 원이 계좌에 있습니다.

 

여기에서 600만 원은 과세제외에 해당하는 금액이므로 언제든지 세금부과 없이 인출을 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납입하여 세액공제받은 800만 원과 이 800만 원이 일을 해서 배당금과 주가차익으로 벌어들인 돈 200만 원은 모두 합하여 과세 대상이 됩니다. 1000만 원 정도가 기타 소득세 납부 대상인 것이지요.

 

그래서 1000만 원에 대한 16.5%의 기타 소득세를 부과하여 예상세금액이 165만 원 정도 나오는 것입니다.

 

정리를 하자면 저는 현재 600만 원은 아무런 손해없이 인출이 가능하고 600만원 이상을 인출하려고 하면 기타 소득세를 부과하고 인출이 가능한 것입니다. 해지 또한 마찬가지이고요.

 

이렇게 자신이 운용하고 있는 연금저축펀드의 해지예상세금을 간단히 조회를 해보았습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중도인출이나 해지 시에 손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습니다.

 

사람은 살면서 언제든지 변수라는 것이 생길 수도 있으니 내용 꼭 참고하셔서 연금저축펀드를 잘 활용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댓글